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7월 재산세 납부 기간이 다가왔네요. 이번 달 안에 반드시 7월 재산세 조회를 하지 않으면, 단순한 미납이 아니라 즉시 가산세 3%, 이후엔 매달 0.66%씩 추가되는 연체금까지 발생하게 됩니다.
게다가 분납 신청도 지금 아니면 늦습니다. 재산세 250만 원 초과 시 분납 신청이 가능한데 기간을 놓치면 무조건 한 번에 내야 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산세 계산기로 간편하게 세액을 예측하고, 7월 재산세 조회 방법 부터 위택스를 통한 납부방법까지 꼼꼼히 안내해 드릴게요.
7월 재산세 조회 방법 (WETAX 기준)
재산세 조회는 위택스(WETAX)에서 간단히 할 수 있어요.
- WETAX 접속 → [지방세 조회 납부]
- 전자납부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입력
- 결과 확인 후 ‘보기’ 클릭 → 바로 납부 가능
재산세 계산기로 세액 미리 확인하기
실제 고지서 금액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대략적인 세액을 알고 싶다면 꼭 재산세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사용 가능한 재산세 계산기
- 서울시 ETAX 재산세 계산기:
- WETAX 지방세 간편계산기:
입력 항목 예시
- 과세 대상: 주택, 건물, 토지 등
- 공시가격: 국토교통부 발표 기준
- 지분율: 공동명의 시 해당 지분 입력
- 면적: 토지/건물 면적
- 지역구분: 서울, 경기 등
- 세대 구분: 1세대 1주택 여부
재산세 계산기 사용 시 주의사항
- 공시가격 ≠ 실거래가
→ 공시가격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됩니다. - 1세대 1주택자는 세율 우대
- 다주택자, 고가주택 소유자는 세율 높음
- 지역별 부가세(교육세, 자원시설세) 차이 존재
- 세액 급증 방지를 위한 세 부담 상한제 적용 중
재산세 납부 기간
2025년 재산세 납부 기간은 7월 16일(수)부터 7월 31일(목)까지입니다.
이 기간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곧바로 3%의 가산세가 부과되며, 납부세액이 45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매월 0.66%씩 추가 가산세가 붙게 됩니다. 재산세는 지방세의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기한 내 납부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납부를 미루거나 잊게 되면 단순히 연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세액 자체가 크게 불어나게 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납세 의무자 확인
- 기준일: 2025년 6월 1일
- 해당일 기준 주택, 건축물, 선박 등을 실제 소유한 사람
- 6월 1일에 잔금을 받은 매수인도 납세 의무 있음
재산세 분납 제도 활용하기
재산세가 많아 부담된다면 ‘분납’ 제도를 꼭 활용하세요.
- 250만 원 초과 시 분할 납부 가능
- 500만 원 이하: 9월 250만 원 + 나머지 12월
- 500만 원 초과: 9월/12월 각각 절반씩
분납 신청 방법
- 서울시 ETAX 웹사이트
→ [신고납부] → [재산세 분납 신청] - 관할 구청, 읍·면 행정복지센터 직접 방문 또는 팩스 접수
재산세 납부 방법
납부는 아래 방법 중 선택할 수 있어요.
- 은행 CD/ATM: 고지서 없이도 조회 후 납부 가능
- ARS 전화 납부
- 1599-3900 (신한은행) 또는 각 시·군·구 ARS 1422 등
- 전자납부
- WETAX, 서울시 ETAX, STAX 앱 (신용카드, 계좌이체, 간편결제)
- 가상계좌 이체: 고지서에 표시된 계좌로 송금
- 편의점 납부
- CU, GS25, 세븐일레븐 등
- 사용 가능한 카드사: 삼성, 현대, 하나, 우리BC, 롯데 등
- 고지서 재발급: 구청 세무과 또는 주민센터 방문 요청 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Q. 재산세는 언제 고지되나요?
A. 매년 6월 1일 기준 소유자에게 고지되며, 7월과 9월에 절반씩 나뉘어 고지됩니다.
Q. 고지서를 분실했어요.
A. 위택스 또는 구청 세무과, 주민센터에서 재발급 받을 수 있어요.
Q. 분납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A. ETAX 또는 관할 구청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250만 원 초과 시만 해당!
Q. 언제까지 안 내면 연체료 발생하나요?
A. 7월 31일 이후 미납 시, 즉시 3%, 매월 0.66% 가산세 부과됩니다.
Q. 편의점 카드 납부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단, 일부 카드사만 가능하니 확인 필요)
2025년 7월 재산세, 지금 확인하고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 + 일시납 부담까지 떠안게 됩니다. 7월 재산세 납부 조회 방법을 확인하고, 지금 바로위택스에서 간편하게 재산세 계산기로 예산 계획까지 세워보세요. 지금 확인 안 하면 가산세 폭탄! 꼭 기억하세요.